2008년 10월 18일 토요일

평화에 대한 현실주의적 관점에서 탈피해야 한다

16세기 이탈리아의 역사학자이면서 정치이론가였던 니콜로 마키아벨리(Niccol Machiavelli)는 <군주론>이란 책을 남긴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이 책에서 군주가 이미 이루어진 현실을 버리고 이루어져야 할 이상을 추구하고자 한다면 자신을 보존하기는커녕 파멸하고 말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처럼 그는 정치에서의 현실주의(realism)의 전형을 보여줌으로써 후세에 정치적 현실주의의 사상적 아버지로 칭송받게 된다.

이러한 현실주의적 관념은 실현 불가능한 이상이나 탁상공론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쉽게 이를 수용한다. 가장 대표적으로 예를 들 수 있는 것이 군대의 폭력성과 존폐에 대한 한국사회의 인식이다. 많은 한국인들은 훈련소에서 신념상 집총을 거부하는 자와 지난 국군의 날 행사에서 군대 폐지 퍼포먼스를 보여준 대학생 강의석씨를 비롯한 평화주의자의 모습을 보면서 그들의 행동은 군대를 통해 전쟁억제력을 갖춰야만 평화를 유지할 수 있다는 현실을 무시한 무책임한 태도를 보여준 것이라며 비난한다.

그렇다면, 그 현실이라는 것은 수용할 수밖에 없는 영원한 것인가? 이 물음에 대해 역사는 아니라고 답하고 있다. 인류의 대다수는 문명이 태동한 이후 천 년이 넘는 동안 계급에 따른 차별, 성별에 따른 차별을 당연시 여겨 왔다. 불과 100여 년 전만 해도 상놈은 지엄하신 양반과 같지 않았고, 아녀자는 남편의 수종을 드는 게 당연하다고 여겼다. 그게 현실이었다. 그런데 영원히 변하지 않을 것만 같았던 그 현실은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는 전혀 다른 모습을 하고 우리 앞에 다시 나타났다.

이처럼 현실이라는 것은 마치 숙명처럼 한 인간이 수용할 수밖에 없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의식을 가지고 회의를 품음으로써 언제든지 도전할 수 있는 대상이다. 강의석씨 그리고 이 땅의 수많은 신념에 의한 병역거부자는 군대가 무엇인가에 대한 많은 사람의 생각에 대해 회의를 품고, 군대가 실제로 평화를 유지하는 것인지, 혹시 군대가 있으므로 전쟁이 일어나는 것은 아닌지 의문을 제기함으로써 현실에 도전한 것이다.

그러한 그들의 행동은 현실의 실체에 대해서 좀 더 가까이 접근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해준다. 우리가 말하는 그 현실이라는 것은 특정한 개인과 집단의 이해관계를 은폐시킨다. 사람들은 평화를 유지한다는 현실적 목적 때문에 기꺼이 비용을 대가며 군대를 유지한다고 말하지만, 미국의 이라크 전쟁을 통해서 무기산업계와 석유업계와 같은 특정집단의 이익추구 때문에 군대가 존재하는 모습을 우리는 목격하게 된다. 그리고 한국에서는 우리는 북한의 군사력이 우리보다 월등하다는 잘못된 인식으로 주권침해 논란에도 미군의 주둔을 당연하게 여기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평화에 대한 현실주의적 관념에서 탈피해야 한다. ‘현실’에 기반하여 군대 없이는 평화를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이라고 생각할 것이 아니라 평화를 유지하는데 군대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 ‘진실’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그럴 때만이 인류의 역사가 시작된 이래 한 번도 벗어나지 못했던 군대와 평화에 관한 현실에서 벗어나 새로운 평화적 사고가 가능해지고, 그런 사고는 본질적인 인류의 평화에 다가설 수 있는 초석이 될 수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